2025년 4월 미국 증시 흐름 및 글로벌 변수
- 뉴욕 증시는 장 초반 관세 이슈로 큰 낙폭을 보였으나, 저점 반발 매수세 유입으로 반등 마감
- S&P500 +0.55% / DOW +1.00% / NASDAQ -0.14% → 기술주 부진, 전통 방어주(필수소비재·금융·에너지) 강세
- 트럼프 “모든 국가 대상 상호 관세 부과 검토” 발언 → 4월 2일 관세 정책 윤곽 발표 주목
- 美 금리 하락 지속: 10년물 4.21%, 2년물 3.88%
- 국제 금 가격은 1.18% 상승하며 신고가 경신, WTI유가도 3.06% 급등
- 달러 인덱스 104.18pt 기록, 글로벌 환율 및 원자재 시장 변동성 확대
- 당분간 정책 불확실성과 고환율 영향 지속 전망 → 수출주·실물자산 중심 전략 유효
대북 관련주 – 트럼프 발언에 따른 남북경협 기대 확산
이슈 요약
- 트럼프 “김정은과 관계 좋다…어느 시점에 뭔가 할 것”
- 북미 정상회담 재개 기대감 부각 → 대북 사업 재개 기대 상승
관련 종목
- 아난티, 일신석재, 인디에프, 부산산업, 남광토건, 조비, 경농, 조아제약, 코데즈컴바인
- 대아티아이, 현대로템, 현대엘리베이터, 신원, 모나용평, 한창, 팬스타엔터프라이즈, 일성건설
- 대호에이엘, 인지컨트롤스, 도화엔지니어링, 희림, 남화토건, 삼부토건, 좋은사람들
체크 포인트
- 금강산 관광 재개 수혜 기대 기업: 아난티, 팬스타엔터프라이즈, 모나용평
- 개성공단 관련 의류·섬유 업종: 인디에프, 신원, 좋은사람들
- 인프라·철도 사업 수혜 기대: 현대로템(철도), 대아티아이(신호), 도화엔지니어링·희림(설계)
- 건설 수혜주: 남광토건, 삼부토건, 일성건설, 부산산업
- 정치 뉴스가 핵심 트리거로 작용 → 짧은 호재보다 실제 사업 기반 종목 선별이 관건
방산 관련주 – 방위비 분담 압박 + 자주국방 강화 흐름
이슈 요약
- 트럼프 행정부 “미군은 대만 억제 집중, 동맹국은 자국 안보 책임”
- 주한미군 감축 가능성 → 한국 방위비 증가 불가피
- 동맹국이 북한·러시아·이란 위협 억제 주도하도록 전략 수정
관련 종목
- 한화에어로스페이스, LIG넥스원, 현대로템, 한화시스템, 엠앤씨솔루션, 아이쓰리시스템
- 한일단조, 에이치브이엠, SNT다이내믹스, 파이버프로, 빅텍, 한국항공우주, 풍산, 휴니드
- 코츠테크놀로지, 대성하이텍, 퍼스텍, 웨이브일렉트로, RF시스템즈, 기산텔레콤
체크 포인트
- 미사일·자율무기체계 강자: LIG넥스원, 한화시스템
- 방산 엔진·항공기 제작: 한화에어로스페이스, 한국항공우주
- 방탄·전장 장비 부품: 빅텍, 퍼스텍, 아이쓰리시스템
- 군용 통신·레이더·부품 전문: RF시스템즈, 기산텔레콤
- 미군 전략 변화에 따른 중장기 실적 모멘텀 확보 가능
화장품 관련주 – 美 수출 세계 1위 등극, 북미시장 본격화
이슈 요약
- 2024년 한국 화장품 美 수출액 17.01억 달러로 프랑스 제치고 세계 1위
- 전체 화장품 수출 규모 102억 달러 돌파, 전년 대비 20.6% 증가
- SNS(틱톡·레딧), 코스트코·아마존 유통망 활용 성공 사례 다수
관련 종목
- 파마리서치, 실리콘투, 한국화장품제조, 제닉, 브이티, 아모레G, 선진뷰티사이언스
- 토니모리, 아모레퍼시픽, 잉글우드랩, 에이에스텍, 잇츠한불, 콜마비앤에이치, 원익, 클리오
- 씨앤씨인터내셔널, 한국콜마, 에이블씨엔씨, 청담글로벌, LG생활건강, 한국화장품
- 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, 코스맥스, 현대바이오랜드, 코리아나, 제이투케이바이오
체크 포인트
- 미국 수출 성장 기대 종목: 한국콜마, 코스맥스, LG생활건강
- SNS 기반 브랜드 마케팅 특화 기업: 브이티, 클리오, 제닉
- 아마존·코스트코 유통 협력사: 아모레퍼시픽, CJ올리브영 등과 제휴 가능성
- ODM·OEM 중심 수출 확대: 잉글우드랩, 씨앤씨인터내셔널
- 미국 공장 증설 및 로컬 생산 계획: 한국콜마(2번째 美 공장 추진 중)
전고체 배터리 – 로봇·휴머노이드용 차세대 배터리 시장 개화
이슈 요약
- 삼성전기: 2025년 소형 전고체 배터리 시제품 공급 예정
- 삼성SDI: 2027년 전고체 배터리 양산 목표
- 현대차·기아와 함께 휴머노이드용 배터리 공동개발 진행 중
- 고출력·장시간 작동 필수 로봇 시장 → 전고체 기술 수요 급증 전망
관련 종목
- 삼성SDI, 이수스페셜티케미컬, 레이크머티리얼즈, 유니테크노, 한농화성, 레몬
- 이수화학, 석경에이티, 씨아이에스, 하나기술, 엔시스, 미코, KBG, EG, 미래컴퍼니, 율촌화학
체크 포인트
- 삼성SDI 중심 배터리 양산 → 연관 장비업체 수혜 기대
- 소재 생산 기업: 이수화학, 석경에이티, 레몬
- 장비 및 공정기술 보유: 하나기술, 씨아이에스, 유니테크노
- 로봇·휴머노이드용 고성능 배터리 수요는 2027년 이후 급증 전망
- 2025~2027년까지는 테스트 공급 및 기술 검증 국면
환율 급등 & 글로벌 시장 변동성 – 고환율 수혜 업종 주목
이슈 요약
- 2025년 3월 31일 기준 달러-원 환율 1,472.9원 →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
- 미국발 상호관세 도입 우려 + 한국 정치 불확실성 장기화
- 4월 발표 예정인 美 재무부 환율보고서 → 글로벌 외환시장 주요 변수
- 내수 부진·정치 갈등 → 원화의 상대적 약세 지속 가능성 높음
체크 포인트
고환율 수혜 업종:
- 자동차: 현대차, 기아 (해외 수익 비중 큼)
- 반도체: 삼성전자, SK하이닉스 (수출 비중 90% 이상)
- 조선: 한국조선해양, HMM (선박 수주/운임 모두 달러 기준)
- 철강: 포스코홀딩스 (내수 원재료, 수출 중심 구조)
실물 자산 강세:
- 금 가격 신고가 경신
- 유가 급등 (러시아 제재 우려로 WTI 71.48달러까지 상승)
금리 흐름:
- 美 국채 10년물 4.21%, 2년물 3.88%로 하락 마감
- 관세 불확실성 해소 전까지 금리 및 환율 변동성 커질 가능성 높음
|
|
|